[Android]프로젝트를 클린 아키텍처로 마이그레이션해보자
·
Android
🧑🏻‍💻오늘의 할 일 오늘은 프로젝트를 하면서 설계한 아키텍처와 의존성 주입에 대해 기록해 보겠습니다. 세상엔 저보다 너무나도 정리를 잘 한 글들이 많기 때문에 이 글에선 클린 아키텍처와 힐트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아마 다루지 않을 것 같습니다. 대신 Hilt를 사용하면서 알게 된 성능 팁에 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. 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와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면서 마주했던 많은 고민들을 기록하면서 좀 더 좋은 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한 발판을 만들어 보겠습니다. 1. 모듈을 나누자 프로젝트를 만들고 가장 먼저 할 일은 클린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모듈을 나누는 일입니다. Presentation과 Data, App은 플랫폼의 의존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Android Library로, D..
객체지향의 꽃 다형성과 의존성 주입
·
Android Architecture
👩‍💻 오늘의 할 일오늘은 객체지향의 특징인 다형성이 안드로이드의 의존성 주입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내용은 제가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코드를 바탕으로 작성하며 DI 같은 의존성 주입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. 👩‍🏫 다형성다형성은 말 그대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성질입니다. 객체지향에선 이를 Interface를 통해 구현합니다. 인터페이스는 상속받은 클래스가 해야 할 일을 미리 명세하고 Class에선 Interface를 상속받아 실제로 해야 할 동작을 구현합니다. 이를 통해 Interface를 상속받는 Class마다 고유한 형태와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.interface Animal { fun makeSound()}class Dog : Animal {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