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ireBase 의존성 주입 생각해보기
·
Android Architecture
👩‍💻 오늘의 할 일오늘은 지난 글에서 개선점으로 꼽았던 불필요한 DataSource에 대한 의존성 분리와 실제 사용 코드에서 UseCase를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. 또한 지난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코드를 리뷰하면서 필요한 의존성을 왜 ? 어떻게 ? 주입을 했을까에 대한 생각을 적어보려 합니다. 물론 DI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먼저 의존성 주입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알아보고 가겠습니다.👩‍🏫 의존성 주입이란 ?의존성이란, 어떤 대상이 참조하는 객체나 함수를 의미합니다. 다음 코드와 같이 Car Class에서 Engine( )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Car는 Engine에 의존하게 됩니다. 이때, Car Class는 Engine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책임을 갖고 있으며 Car Clas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