채용 공고를 보면 REST에 대한 내용이 정말 많습니다. 그래서 저도 정말 많이 찾아봤는데 처음엔 도통 무슨 말인가 이해가 하나도 되질 않았습니다. 안드로이드에서 Retrofit으로 서버와 통신을 할 때 도, 심지어 그 서버를 내가 만들어 놓고도 REST 방식인지도 몰랐습니다. 그래서 저 같은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 방식대로 쉽게 풀어보고자 합니다.
📌 REST 의 정의
우선 REST가 뭔지 검색을 해보면 대개 이렇게 설명을 합니다.
REST는 "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"의 약자로, 자원을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로 표현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웹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.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,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단순화하고 유연하게 만들어줍니다.
예 뭔소린지 모르겠죠 ? 저도 처음 봤을 때 제가 말하는 감자인줄 알았습니다.
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입니다.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중에 하나입니다.
이 때 이 요청은 URL을 통해서 이뤄지고 이 URL을 딱 봤을 때 얘가 뭔짓을 하려는 건지 딱 알 수 있어야 RESTFUL 하다 라고 합니다. GET은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소드입니다. 예시를 보고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. 아래 URL은 db와 storeinfo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그럼 이 URL 은 무슨 요청을 보내는걸까요 ?
GET /db/storeinfo
db -> 말 그대로 Database에서 뭔가를 가지고 오려 합니다. 뭐를 가지고 오려 할까요 ? 그 다음 요소인 storeinfo 즉, 매장의 정보를 보내달라는 요청입니다. 이렇게 클라이언트가 URL을 통한 요청을 Server에 보낼 때 그 의도를 알 수 있는게 REST 방식입니다.
📌 REST API의 구성
- 자원(Resource) : 모든 자원엔 고유한 ID(/db/storeinfo 같은 HTTP URL)이 있고 이 자원은 서버에 항상 존재합니다.
- 행위(Verb) : HTTP Method [ GET, POST, PUT, DELETE ] 를 사용하는데 이 Method들은 각각 Database에서의 [ CREATE, INSERT, UPDATE, DELETE ] 의 역할을 담당합니다.
- 표현(Representations) : 클라이언트에서 자원을 요청하면 서버측에서는 적절한 응답을 전송합니다. 이 때, 응답 데이터 형태는 JSON, XML, TEXT, RSS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중 JSON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.
📌 REST API를 사용하는 이유
Rest API를 사용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플랫폼과 디바이스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함입니다. 예전에는 PC 브라우저가 주된 클라이언트였기 때문에 서버는 이에 맞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충분 했습니다. 하지만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등장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웹, 앱을 전체를 아우르면서 일관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필요성이 생겼습니다.
📌 REST API 특징
- Uniform(유니폼 인터페이스) : 웹 서비스에서 일관성 있고 통일된 방식으로 리소스를 다루기 위한 원칙입니다.
- Stateless(무상태성) : 세션, 쿠키 정보등을 따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만 처리하면 됩니다.
- Cacheable (캐시 가능) : HTTP의 캐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Self-descriptiveness (자체 표현 구조) : 계속 강조되는 내용입니다. REST API 메시지만(요청 URL)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
- Client - Server 구조 : REST 서버는 API 제공,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(세션, 로그인 정보)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 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 의존성이 줄어듭니다.
- 계층형 구조 :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. 보안, 로드 밸런싱,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, GateWay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📌 REST API 장점
-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습니다.
- HTTP Method를 그대로 사용합니다.
-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
-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합니다.
📌 REST API 단점
- 표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- 사용할 수 있는 Method가 4가지 밖에 없고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입니다.
- 구형 브라우저가 지원해주지 못하는 부분(PUT, DELETE, pushState)가 존재합니다.
📌 REST API 설계 원칙
- REST API 설계 시 가장 중요한 항목은 다음의 2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.
①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합니다. ( URI가 어떤 요청을 하는건지 알 수 있어야 합니다 )
②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)로 표현해야 합니다. - 리소스 명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합니다.
- 슬래시 구분자(/)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.
- URI 마지막 문자로 슬래시(/)를 포함하지 않습니다.
- 하이픈(-)은 URI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합니다.
- URI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합니다.
-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.
GET /members/delete/1
위와 같은 방식은 REST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URI입니다. 왜 그럴까요 ?
- URI는 자원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.
- delete와 같은 행위에 대한 표현이 들어가서는 안됩니다.
📌 HTTP 응답 상태 코드
✅ 2XX 상태 코드
상태 코드 | 설명 |
200 | 클라이언트 요청 정상 수행 |
201 | 클라이언트의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(POST) |
202 |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비동기적으로 처리 |
204 |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. 200과 다른 점은 응답 바디가 없을 때 사용 |
✅ 4XX 상태 코드
상태코드 | 설명 |
400 |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 |
401 |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 요청 |
403 |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했을 때 |
404 |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 하지 않을 때 |
405 |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Method를 이용했을 경우 |
✅ 기타 상태 코드
상태코드 | 설명 |
301 |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가 변경 되었을 때 |
500 | 서버에 문제가 있을 때 |
'BACK 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당탕탕 Node JS Server 다시보기 (1) | 2023.12.18 |
---|---|
Error: Connect econnrefused (2) | 2023.12.12 |
Docker + Node.js + Nginx 4 (0) | 2023.12.11 |
Docker + Node.js + Nginx 3 (0) | 2023.12.11 |
Docker + Node.js + Nginx 2 (0) | 2023.12.11 |